티스토리 뷰
제1부 투자 준비
주식투자 능력은 유전인자로 좌우되지 않는다.
누구는 투자 감각을 타고났는데 자신은 타고난 감각이 없는 탓에 손실을 보았다고 불평하는 사람들이많다.
내 요람 위에 시세시기가 달렸던 것도 아니다.
폘레가 어린 시절부터 축구공을 갖고 놀았던 것처럼 주식시세가 담긴 종이를 갖고 논 것도 아니었다.
내가 아는 한 아버지는 GM의 주가를 확인하려 부산히 자리를 뜬 일도 없었고, 어머니도 불황기에 ATT의 배당금을 확인한 일도 없었다.
돌이켜 확인해보니 내가 태어났던 1944년 1월 19일은 다우존스 지수가 하락했던 날이다.
태어난 후 내가 아직 병원에 머물던 주간에는 지수가 더 내려갔다.
당연히 당시에는 전혀 생각하지 못했지만, 이것이 바로 내가 주장하는 린치의 법칙을 증명한 최초의 사례였다.
린치의 법칙이란 나에게 좋은 일이 생기면 시장이 하락한다는 법칙이다.
정작 내 친척들은 대부분 주식을 불신했다.
사실 그럴 만한 이유가 있었다.
어머니는 7남매 가운데 막내다.
나의 삼촌들은 대공황 당시 모두 성년이었고, 1929년 대폭락을 직접 경험했다.
그러니 우리 집안에 주식을 권하는 사람이 있을 리 만무했다.
우리 집안에서 내가 들어본 유일한 투자 사례는 할아버지 진 그리핀이 시티즈 서비스 주식을 매수한 경우다.
할아버지는 매우 보수적인 투자자였다.
할아버지가 이 회사를 선택한 이유는 이곳이 수도회사하고 생각했기 때문이다.
그러다 뉴욕으로 여행하던 중에 이 회사가 석유회사라는 사실을 알고는 곧바로 팔아버렸다.
이후에 시티즈 서비스 주식은 50배가 올랐다.
1950년대는 몰론 1960년대에는 들어서도 미국인은 전반적으로 주식을 불신했다.
그러나 이 기간에 시장은 3배로 뛴 데 이어 다시 2배로 뛰었다.
내가 어렸을 때, 그러니까 1980년대 호황기보다도 더 이전에, 미국의 주식시장은 이미 역사상 최고의 강세장이었지만, 삼촌들은 주식투자를 도박장의 주사위 노름 보듯이 했다.
사람들은 이렇게 경고했다.
주식시장 근처에는 가지도 마라. 위험한 놀이에 결국 재산을 모두 날리게 된다.